728x90
함수 표현식
let test = function(){
body content;
};
=> 함수를 생성하고 해당 함수를 변수에 할당합니다. 이때 test를 출력하면 함수의 코드가 찍히게 됩니다.
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()를 사용해야 합니다.
함수는 값이기 때문에 다른 변수에 할당 해 사용이 가능합니다.
fuction test(){
bodycontent;
}
let funcTest = test;
//둘 다 같은 결과
test();
funcTest();
변수에 넣어서 사용할 때는 값으로 분류 되기 때문에 세미콜론을 사용해야 합니다.
콜백 함수 : 함수의 인자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나중에 호출하는 것입니다.
익명 함수 : 함수의 이름 없이 선언하는 함수로써 선언부 바깥에서는 접근 할 수 없습니다.
함수선언문은 독자적으로 존재하며 자바스크립트가 스크립트를 실행하기전 초기화 단계에서 미리 전역으로 선언된 함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어느 위치에 존재하던 선언부 전에서도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.
함수표현식은 표현식이나 구문 내에 생성이되며 실행 흐름이 해당 함수에 도달했을 때 함수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스코프에 의해 블록 내에 선언된 함수는 해당 블록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해당 함수를 블록 외부에서 사용하고 싶으면 변수를 생성후 블록내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할당 할 경우 사용이 가능합니다.
'학습(구) > JavaScript(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- 객체 (0) | 2021.11.02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기본문법 - 화살표 함수 (0) | 2021.10.14 |
자바스크립트 기본문법 - 함수 (0) | 2021.10.12 |
자바스크립트 기본문법 - switch (0) | 2021.10.12 |
자바스크립트 기본문법 - 반복문 (0) | 2021.10.12 |